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088)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74) N
    • 특집 (85)
    • 수업 현장 (101)
    • 포럼 (89)
    • 해외 미디어 교육 (71)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1)
    • 공지사항 (97)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2)
      • 현장소식 (175)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49)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한국언론진흥재단 뉴스리터러시 뉴스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교육 다독다독 서포터즈 독서 이벤트 공모전 스마트폰 NIE 신문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언론진흥재단 신문읽기 책 기자 뉴스읽기뉴스일기 다독다독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전체보기(3088)

  • 미디어 과의존, 소통 역량은 하락…성찰과 표현 기회 늘려야

    2023.09.22
  • 여름호 <미디어리터러시> 발간 기념 퀴즈 이벤트 당첨자 발표

    2023.09.20
  • 9월의 추천 도서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2023.09.14
  • 내 삶에 들어온 인공지능, ‘모르면 독, 알면 약’

    2023.09.12
  • 미디어리터러시와 <공영방송 ZDF의 틱톡 콘텐츠 실험> 같이 보기

    2023.09.08
  • 미디어를 도구로 활용하고 즐겨 보아요!

    2023.09.06
미디어 과의존, 소통 역량은 하락…성찰과 표현 기회 늘려야

코로나19 이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 written by.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대담. 김아미 (서울대 빅데이터혁신융합대학 연구교수) 강용철 (경희여중 교사) 김광희 (진말초 교사) ‘코로나 학번’ 세대를 채용한 영국의 대기업이 이들을 대상으로 입사 후 재교육을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코로나19 여파로 격리된 채 대학 생활을 보낸 탓에 의사소통 능력이 떨어지는 등 회사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과연 학교 선생님들은 코로나 이후의 교육 환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 계간 는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 연구자와 학교 현장에서 미디어교육을 실천 중인 교사들의 의견을 들어보았다. ​ ​ 코로나 이후 미디어교육의 목표는 일상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역량인 미디어 리터러시를 균형..

2023. 9. 22. 09:30
여름호 <미디어리터러시> 발간 기념 퀴즈 이벤트 당첨자 발표

지난 8월 31일부터 9월 13일까지 진행되었던 여름호 퀴즈 이벤트 블로그 댓글 총 505개로 엄청난 참여율을 보여주셨는데요. 그 정답 먼저 공개합니다! 1. 퀴즈 1. 이번 여름호의 특별기획 주제는? ○○ 리터러시 교육 ​ 정답: AI 2. 디지털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이해와 윤리 의식을 바탕으로, 정보를 수집·분석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평가하여 새로운 정보와 지식을 생산·활용하는 능력을 일컫는 단어는? (힌트: 특별기획 2-내 삶에 들어온 인공지능, ‘모르면 독, 알면 약’ p.14) ○○○ ○○ ​ 정답: 디지털 소양 다들 잘 맞혀주셨나요? 이벤트 당첨자로는 총 열 분을 선정했습니다. 당첨자를 발표합니다! ​​ ​ ​ 당첨되신 분들은 9월 26일(화)까지 본 게시글 비밀댓글에 '닉네임(아이디) / 연락..

2023. 9. 20. 11:25
9월의 추천 도서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9월의 추천 도서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진짜와 가짜를 가려내는 미디어 리터러시 ​ 아프리카에서 인육 케밥을 판매한다고? 프란치스코 교황이 트럼프를 지지했대! 북한에서는 설 명절 선물로 마약을 주나 봐? A형 혈액형이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하다며? 위의 정보들은 정말 100% 사실일까요? 유언비어나 허위 사실, 엉터리 지식은 머나먼 고대사회에서도 존재했지만, 이런 “카더라” 소식들이 이제는 현대 사회의 발전된 디지털 기술을 만나 합성 사진은 물론, 육성을 흉내 내는 AI 딥페이크(Deep Fake) 영상으로까지 제작되어 온라인에 무분별하게 공유되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 ​ ​ ​​ 『이대로 속고만 살 수 없다: 진짜와 가짜를 가려내는 미디어 리터러시』라는..

2023. 9. 14. 09:00
내 삶에 들어온 인공지능, ‘모르면 독, 알면 약’

왜 지금 AI 리터러시 교육인가 ​ written by. 김현철 (고려대 컴퓨터학과 교수) ​ 얼마 전 세계적 유명 인사들이 잠시 인공지능의 개발을 멈추자며 캠페인을 진행했다. 이유는 챗GPT로 대표되는 생성형 인공지능의 위험성 때문이다. 그런데 인공지능이 위험한 이유는 인간의 지능을 뛰어넘을 정도로 똑똑해서가 아니라 완벽하지 못하기 때문이며, 인공지능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학습의 특성상 신뢰성, 공정성, 윤리성, 안전성, 투명성 같은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바로 이 지점에서 인공지능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 예상되는 부정적인 이슈와 그에 대한 해결책 및 방지책을 일부 소수의 과학자들에게만 맡겨서는 안 될 일이다. 왜냐면 인공지능은 인류 모든 개인 한 명 한 명에게 그대로 반영되고 직간접적..

2023. 9. 12. 09:00
미디어리터러시와 <공영방송 ZDF의 틱톡 콘텐츠 실험> 같이 보기

​ written by. 계간 편집부 ​ ​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하는 또 다른 월간지인 『신문과 방송』 2023년 6월호 [미디어월드와이드] 섹션에 “공영방송 ZDF의 틱톡 콘텐츠 실험” 기사가 실렸는데요. 독일의 공영방송 ZDF에서 2022년 6월에 소셜미디어에 대한 청소년 보호를 주제로 진행했던 틱톡(TiKTok) 콘텐츠 실험을 소개한 글입니다. ​청소년이 틱톡에서 단계별로 어떤 영상에 노출되는지 분석한 기사, 계간 와 함께 보시죠! ​ ​ 전 세계적으로 틱톡·인스타그램 등 SNS 플랫폼 내 선정적 콘텐츠로부터 청소년을 보호하기 위한 경각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5월, 독일 제2공영방송 ZDF는 틱톡에서의 청소년 보호 실험 결과를 발표했는데요. 연구팀은 2022년 6월 40개의 틱톡..

2023. 9. 8. 09:00
미디어를 도구로 활용하고 즐겨 보아요!

미디어교육 운영 학교 수업 현장 written by. 박미영 (한국NIE협회 공동대표) ​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학교 미디어교육을 활성화하고 청소년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을 위해 매년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지원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지원 대상은 전국 유치원·초·중·고등학교이며 지원 대상으로 선정된 학교에는 미디어 강사가 파견돼 미디어교육을 진행한다. 올해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중 3개교에서 진행된 생성형 AI 관련 미디어 수업 내용을 소개한다. ​ 과연 학생들은 AI에게 어떤 별명을 붙였을까요? 지나는 ‘화산’이란 별명을 붙여 주며, “언제 폭발할지 모르는 화산처럼 언제 인간을 뛰어넘을지 모르기 때문에 조금 위험하다 싶으면 잠시 개발을 멈춰야 한다”고 제안했죠. ​ ​​ "♬ 꽃향기만 남기고 갔단다." 흥겨운..

2023. 9. 6. 09:00
1 2 3 4 ··· 515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