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미디어 교육(81)
-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교육 현장의 미래
|글. 이혜선 (국립암센터 암지식정보센터 박사후연구원)|학교 현장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것은 여전히 조심스럽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공공교육부서에서 발표한 ‘공립학교를 위한 생성형 AI 적용의 권장 및 고려 사항’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 현장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입할 때 이점과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함께 생각해본다. 2022년 11월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의 출시는 누구나 인공지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이전까지의 인공지능 기술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성한 코드(code)를 그대로 출력하는 느낌이었다면, 챗GPT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자연어로 질문(입력)했을 때 자연어로 만들어진 답변(출력)을 받을 수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rtific..
2024.12.18 -
디지털 사회 헤쳐 나갈 힘 길러주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글. 류숙 (서강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대학원 강사)|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은 이미 전 세계에서 뜨거운 이슈다. 해외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이 정책적 차원에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미디어 교육을 선도하는 핀란드를 비롯해 유럽연합과 미국의 사례를 각각 살펴보고,국내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현장에 주는 함의를 생각해본다. 일주일만 새 소식을 업데이트하지 않아도 새로운 인공지능 도구와 플랫폼들이 개발되는 속도를 따라잡지 못할 정도로 세상은 빠르게 돌아가고 있고, 우리는 이처럼 급속도로 변화하는 디지털 사회의 한가운데를 살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사회를 제대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필수 역량은 디지털 리터러시다. 디지털 리터러시는 디지털 환경 속에서 정보(지식)에 접근 및 탐색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2024.12.11 -
호주 어린이들은 어떻게 '디지털 시민성' 개념을 배울까?
|글. 마이클 데주아니(Michael Dezuanni) 교수|유럽의회는 디지털 시민성 개념이 저절로 획득되지 않는다며, ‘교육’을 통해 습득해야 하는 역량이라는 것을 강조하기도 했다. 디지털 시민으로서 역할과 의무를 가르치고자 하는 ‘디지털 시민성 교육’은 디지털 사회에서 더 많은 활동을 하게 될 우리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앞으로 꼭 필요한 교육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호주 디지털 어린이 연구소에서 진행한 연구 프로젝트를 소개한다. 디지털 시민성은 디지털 미디어와 기술이 일상생활의 중심인 사회에 성공적으로 참여하기 위해 개인이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뜻하는 용어다. 디지털 시민성은 오락과 여가 활동, 학습과 교육, 취업뿐 아니라 사회적, 문화적, 시민적 참여를 위해서도 중요하다.호주 학교에서의 ..
2024.12.04 -
‘모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법’ 나누는 축제의 장
2023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written by. 이혜선 (서강대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 미국에서는 매년 10월 마지막 주에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을 맞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학생과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이벤트가 열린다. 올해로 9회를 맞은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현장의 모습을 소개한다. NAMLE의 메간 프롬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지닌 사람은 미디어 메시지가 개인·지역 공동체·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나 메시지 해석 과정에 자신의 편견과 인지 과정이 미치는 영향 등을 이해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10월 미국 전역에서는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U.S. Media Literacy Week)’을 기념하기 위한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다.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2024.05.14 -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
유네스코 ‘2023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written by. 이혜선 (서강대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 매년 10월 마지막 주는 유네스코(UNESCO)에서 지정한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Week)’이다. 이 시기 유네스코에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세계 각국에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진흥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한다. ‘2023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행사를 소개한다. 오드레 아줄레 사무총장은 “알고리즘 조정 및 기능, 데이터 투명성 및 가용성, 개인 정보 보호, 인권 위험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안할 것”이며, “사용자의 비판적 사고를 키워 디지털 플랫폼의 잠재..
2024.05.08 -
싱가포르의 체계적 교육 시스템에서 배우다
2023년 미디어교육 해외연수 참여 후기 written by. 신윤경 (서울봉은초 교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내 교원의 미디어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 5박 6일간 싱가포르에서 미디어교육 교사 해외 연수를 진행했다. 공모를 통해 전국에서 선정된 7명의 초중고 교사가 참가한 이번 연수의 주요 내용과 참가 소감을 소개한다.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현재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싱가포르 교육자들의 노력을 엿보면서, 학생들의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해 더 연단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이번 연수는 미디어교육을 현장에서 진행하는 교사들에게 참으로 귀하고 소중한 경험이었다. 교직 ..
2024.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