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미디어 교육(81)
-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일리노이 주, 미국 최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의무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미디어 리터러시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 편입됨으로써 우리나라도 2024년부터는 공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확보됐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근거는 없다. 최근 미국 내 최초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법으로 의무화한 일리노이 주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황현정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국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정부 부처별로 산발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체계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없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이..
2022.05.02 -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시민의 필수 역량 ‘디지털 리터러시’ 캐나다 미디어스마트 ‘2021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캐나다의 대표적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기관 미디어스마트(MediaSmarts)가 2021년 10월 25일부터 30일까지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Media Literacy Week)’을 개최했다. 16회를 맞이한 ‘2021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정선임 (미디어교육 전문 강사, 서강대 박사과정) “우리의 삶이 훨씬 더 온라인으로 옮겨감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필수가 됐다.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은 온라인에서 접하는 정보를 확인하거나, 대중문화에 대해 비판적으로 생각하거나, 혹은 우리가 미디어와 소통하는 방식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다.” 미..
2022.01.28 -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변화하는 세계 속 성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중요성 ‘2021 저널리즘 주간’ 마이클 데주아니 교수 기조 강연 전문 한국언론진흥재단 주최 기간에 열린 ‘미디어교육, 세상을 비추다 (Re:flect)’ 콘퍼런스의 기조 강연자 마이클 데주아니 교수의 강연과 이어진 질의응답 내용 전문을 싣는다. 마이클 데주아니 (호주 퀸즐랜드 공과대 디지털미디어리서치센터 교수) 일부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면 주로 잘못된 정보를 확인하고 방지하는 데, 즉 팩트체크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그보다 훨씬 더 광범위하게 정의되어야 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시민들이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비평적으로 성찰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오늘 저를 초대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오늘 강연할..
2022.01.27 -
어린이의 권리는 디지털 세상에서도 중요하다!
어린이의 권리는 디지털 세상에서도 중요하다! 유엔 ‘디지털 환경 관련 아동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 제25호’ 의미와 과제 최근 유엔 아동권리위원회는 디지털 환경과 관련해 아동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권리를 보장하기 위한 논평을 채택했다. 이 논평은 아동의 시민권과 자유, 개인 정보 보호, 차별 금지, 교육, 놀이에 대한 권리 전반을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정현선 (경인교대 국어교육과 교수,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소장) 유엔 아동권리위원회의 일반 논평 제25호 채택을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어린이가 처할 수 있는 디지털 환경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위험을 규정하고, 이로부터 어린이를 ‘보호’할 수 있는 입법과 정책 추진, 그리고 사회적 인식 전환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20..
2021.04.16 -
배워봅시다! ‘책임 있고 안전한 디지털 사용’
배워봅시다! ‘책임 있고 안전한 디지털 사용’ 프랑스, ‘디지털 시민을 위한 교육용 키트’ 개발 누구나 온라인에서 자신의 개인 정보를 안전하게 지키고 타인의 창작물도 존중하는 법을 안다면 디지털은 보다 유용하고 편리한 도구가 될 수 있다. 최근 프랑스에서는 ‘책임감 있는 디지털 시민 양성’이라는 목표 아래 여러 정부 기구가 공동으로 디지털 교육용 키트를 개발해 무료로 제공했다. 하서린 (다큐멘탈리스트) 프랑스의 국가정보자유위원회(CNIL), 시청각최고위원회(CSA), 권리보호관 및 아도피(Hadopi)는 ‘디지털 시민을 위한 교육용 키트’를 공동 제작했다. 이 키트의 영상 자료, 실용 가이드, 교육용 게임, 보고서 및 수업 자료는 네 기관의 사이트에서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타인의 동..
2021.03.31 -
이제는 미디어 리터러시 의무 교육 시대
이제는 미디어 리터러시 의무 교육 시대 미국의 미디어교육 법제화 현황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필요한 시점이다. 미국에서는 이미 14개 주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법제화했다. 최근에는 미주리주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학교 교육과정에 포함시켜 주목을 받았다.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을 살펴보고 미국의 사례를 통해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글 윤혜경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책임연구위원) 주마다 차이는 있지만 미디어교육 강화를 위한 노력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진전은 법안 마련에 힘쓰는 정책 관계자, 시민 단체, 교육자, 언론학자, 미디어 리터러시/정신건강/기술 분야 전문가 등이 함께 한 심도 있는 토론과 연구, 즉 협력의 결과라는 ..
2021.03.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