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미디어 교육(81)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2) 미국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뉴스 리터러시 교육을 가장 체계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나라, 미국의 사례를 소개해 드립니다. 미국의 뉴스 리터러시 프로그램은 뉴욕 일간지 뉴스데이 편집장 출신인 하워드 슈나이더(Howard Schneider)가 그 필요성을 주장하며 시작되었습니다. 슈나이더가 생물학, 역사학, 경영학 등 다양한 전공자 40명을 대상으로 한 강의에서 학생들에게 뉴스관을 질문한 결과, ‘학생 3분의 1은 매체를 가리지 않고 뉴스라면 무조건 믿었고 또 다른 3분의 1은 이윤, 상업주의, 권력 등을 언급하면서 그 어떤 뉴스도 믿지 않았으며, 나머지 3분의 1은 도대체..
2016.03.29 -
세계의 뉴스 리터러시 교육 동향 (1) 뉴스 리터러시의 중요성
[요약] 세계 각국에서 전개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신문활용교육(NIE)이 어떻게 ‘뉴스 리터러시 교육’으로 확장되고 있는지 동향과 사례를 10편에 걸쳐 소개합니다.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개별적이고 짧게 편집한 일명 ‘파편화’된 뉴스의 유통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관된 틀을 통한 보도가 아닌 극적인 사건에만 집중한 파편화된 뉴스는 사회적, 역사적, 정치적 맥락에서 이슈를 고립시켜 수용자들이 뉴스를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습니다. "신문사들이 어떤 디바이스나 플랫폼으로, 그 어떤 비즈니스 모델을 선택하든 현 시점에서 젊은 사람들의 관심을 반영하지 않는다면 심각한 상황에 직면할 것이다."_세계신문협회, 2011 1932년 뉴욕타임스가 처음 도입했던 신문활용교육(NIE, Newspaper in E..
2016.03.24 -
미국 미디어리터러시센터 연수기
*위 내용은 한국언론진흥재단 에 실린 월계고 교사 한유승님의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인터넷의 발명과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전은 우리 삶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정보를 머릿속에 저장하지 않아도 됩니다. 하지만 수많은 정보들 속에서 정작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골라내기는 너무나 어렵습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우리 학생들이 개인과 세상을 연결해주는 미디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디어를 스스로 해석하고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울 수 있어야 합니다. 학생들의 미디어 리터러시를 향상시키기 위해 학교에서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 고민하던 중 한국언론진흥재단을 통해 미국CML(Center for Media Literacy) 방문 연수에 참여하게 됐습니다. 미디어를 분석하는 5가지 핵심 개념 CML..
2016.0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