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교육(251)
-
선거판 흔드는 AI 허위조작정보와 대응 방법
|글. 박영흠 (성신여자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생성형 인공지능(AI)이 만들어낸 허위조작정보는 ‘슈퍼 선거의 해’의 판도에 영향을 줄 가장 큰 변수로 줄곧 지적되었다.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시민들의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 함양을 위한 교육을 강조하지만, 사실 리터러시 교육에서 말하는 허위조작정보 식별방법은 크게 새롭지 않은 내용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알고도 허위조작정보에 속는 이유는 무엇일까? 본고에서는 ‘슈퍼 선거의 해’ 선거판을 뒤흔든 AI 허위조작정보 사례의 위험성을 살펴보고 미디어 이용자에게 필요한 ‘자기 성찰적’ 자세가 무엇인지 알아본다. 2024년은 전 세계 76개국에서 약 42억 명의 유권자들이 선거를 치르는 ‘슈퍼 선거의 해’였다. 4월에 총선을 치른 한국뿐 아니라 대만,..
2025.02.18 -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들어온 미디어 리터러시, 어떻게 구체화되었나
|글. 양소은 (서울대학교 언론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 외 3인|지난 2021년 교육부가 발표한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르면 초등부터 고등에 이르기까지 미디어 리터러시가각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 편입되어 있어 교육계는 물론 미디어 연구자들에게 큰 관심을 끌었다. 이지선 서원대학교 교수를 비롯한미디어 연구자 3인은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관련 내용을 보다 쉽게 이해하고 수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실질적 도움을 주는 연구를 진행했다. 해당 연구를 진행한 연구자들이 직접 연구보고서 내용을 일부 요약하여 소개한다. 이 연구를 시작한 배경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미디어 리터러시 내용 적용의 문제점 2022 개정 교육과정은 2024년부터 학교 현장에 순차적으로 적용되기 시작했다. 이번 교육과정에서는..
2024.11.06 -
[제5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대상작 소개(2)] 띵커톤 - 말도 많고 탈도 많은 부산 수돗물, 부산 시민들이 마셔도 안전한가?
안녕하세요! 대학생 기자단'미리프렌즈'의 송연경입니다.지난번 콘텐츠에 이어작년에 열렸던 제5회 체커톤 대회두번째 대상작을 만나볼 시간입니다~! 과연 이번 팀은 어떤 주제로 팩트체크를 진행했을지궁금하지 않으신가요?저는 이번 팀의 결과물을 보며'어떻게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정보를 수집했을까?' 하는감탄이 절로 나왔는데요!그 놀라운 과정을 소개해드리려 합니다.다들 attention~~~이번 대상작의 주인공은 일상에서 팩트체크를 생각하는'띵커톤(think-a-thon)' 팀입니다!부산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하는네 명의 학생이 모여 팀을 이루었는데요.전공생들인만큼 팩트체크의 중요성을 실감하며지역사회 변화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대회에 임했다고 합니다!띵커톤 팀의 주제는 다음과 같습니다.'말도 ..
2024.11.05 -
[현대인의 고질병] '포모(FOMO)'란 무엇인가?
안녕하세요!의 대학생 기자단 미리프렌즈 김나연입니다:) 오늘은 현대인의 고질병으로 불리는'포모(FOMO)'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봅시다. "SNS에서 인기있는 레스토랑이나 호텔을 따라가고,지인이 떼돈을 벌었다는 소식에 무작정 주식에 도전하는 것"혹시 여러분도 위와 같은 상황을 겪어본 적 있으신가요?포모(FOMO)란 Fear Of Missing Out의 약자로놓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뜻합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이 자신보다 큰 만족감을 경험하고 있다는 인식에서 유발되는 ‘원하지 않는 불안감’인데요.[1] 포모(FOMO)와 관련한 대표적인 사례는미국 실리콘밸리 역사상 최대 사기극이라고 평가받는바이오 벤처기업 '테라노스 사건'입니다. 2014년 테라노스는손가락 끝에서 채취한 극소량의 혈액..
2024.10.30 -
싱가포르의 체계적 교육 시스템에서 배우다
2023년 미디어교육 해외연수 참여 후기 written by. 신윤경 (서울봉은초 교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내 교원의 미디어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 5박 6일간 싱가포르에서 미디어교육 교사 해외 연수를 진행했다. 공모를 통해 전국에서 선정된 7명의 초중고 교사가 참가한 이번 연수의 주요 내용과 참가 소감을 소개한다.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현재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싱가포르 교육자들의 노력을 엿보면서, 학생들의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해 더 연단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이번 연수는 미디어교육을 현장에서 진행하는 교사들에게 참으로 귀하고 소중한 경험이었다. 교직 ..
2024.05.01 -
미디어와 사람 간 만남 통해 변화 일으키는 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자마다 견해가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사회 구성원별로 어떤 역량이 필요하며, 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이다. 이번 순서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탐구해 본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의 목표는 목소리를 잃었던 주체들이 미디어를 통해 개인의 정서를 표출하고 사회적 권리를 실현하는 데 있다. 요컨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교사-학습자-미디어 사이의 만남을 통해 정서의 변이를 꾀하기 위한 실천의 힘이다. 픽사의 애니메이션인 (2015)에는 다섯 개의 감정이 등장한다. 모든 이들의 신체 ..
2024.04.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