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독다독, 다시보기(2326)
-
인공지능과 공존하는 사회에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글. 김평원 (인천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생성형 인공지능 기술을 교육 현장에 접목하는 시도가 늘어나면서AI 휴먼 교수를 수업에 도입하는 것에 대해 관심이 뜨겁다.과연 AI 휴먼 교수가 실제 교수자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인가.국내 최초로 AI 휴먼 교수를 수업에 도입한 사례를 알아보고,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학습에 대해 생각해본다. 인공지능 시대의 미래 교육 전략 ‘미디어는 메시지다’라는 마셜 매클루언(Marshall Mcluhan)의 논리에 따르면 매체(media)가 바뀌면 내용(content)도 바뀌어야 한다. 하지만 읽기 환경은 종이에서 디지털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으나 유독 교육 분야는 지식 설명과 학습 활동으로 구성된 교과서의 형식이 바뀌지 않고 있다. 테크놀로지를 전문으로 하는 에듀테크(Ed..
2024.10.23 -
주체적 미디어 사용을 배우는 '함께하는' 디지털 미디어교육
|글. 이경아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 강사)|한국언론진흥재단은 함께하는 미디어교육을 실현하고자 특수학급 대상의 미디어교육을 점차 넓혀가고 있다.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에게 미디어교육을 진행할 때 어떤 부분을 특별히 신경 쓰면 좋을까? 특수교육 대상 학생들을 위한 효과적인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을 위해미리 준비해야 할 점들과 실제 수업에서 사용하여 반응이 좋았던 유용한 내용들을 소개한다.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준비 새로운 대상과의 첫 수업은 항상 부담 반 설렘 반으로 시작한다. 이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하는 학생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이런 경우, 퀴즈로 수업을 시작하면서 서로의 긴장감을 줄여본다. 한 학생이 “선생님! 냉장고도 미디어인가요?” 묻자 다른 학생이 “미디어지! 요리하는 방법을 ..
2024.10.16 -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위한 AI 리터러시 교육의 필요성
|글. 주민정 (진산중학교 교사)|학교 현장에서 생성형 AI 기술을 어떻게 도입할지 고민하는 교사들을 위한 교사연수가 뜨거운 반응 속에서 진행되었다. 최신 AI 기술에 대한 이해와 AI 기술을 활용한 교육에서 주의할 점, 교육 현장에서 AI 기술을 어떻게 수업에 활용할지 구체적 실습까지 곁들인 한국언론진흥재단의 AI 리터러시 교사 연수 참여 후기를 소개한다. 한자의 의미대로 먼저 태어난 사람인 선생님은 학생이 올바른 삶을 살 수 있도록 학생이 꼭 알아야 할 내용을 학생 수준에 맞게 시의적절하게 교육해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교사도 미처 경험해보지 못한 낯선 AI 기술과 사회 변화는 어떻게 접근하여 교육해야 할지 난감했다. 이러한 교육자로서 고민이 있을 때 ‘AI 기초부터 탄탄하게 AI 리터러시 이..
2024.10.02 -
미디어와 사람 간 만남 통해 변화 일으키는 힘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written by. 강진숙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 연구자마다 견해가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그보다 중요한 것은 사회 구성원별로 어떤 역량이 필요하며, 왜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개발해야 하는지에 대한 성찰이다. 이번 순서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을 탐구해 본다.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개발의 목표는 목소리를 잃었던 주체들이 미디어를 통해 개인의 정서를 표출하고 사회적 권리를 실현하는 데 있다. 요컨대,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은 교사-학습자-미디어 사이의 만남을 통해 정서의 변이를 꾀하기 위한 실천의 힘이다. 픽사의 애니메이션인 (2015)에는 다섯 개의 감정이 등장한다. 모든 이들의 신체 ..
2024.04.09 -
2022년에는 갓생 살자! 갓생을 위한 신년 목표 세 가지!!
2022년 새해가 밝은 지 벌써 한 달이 지났네요! 여러분 모두 작심삼일 하지 않고 세운 목표를 꾸준히 지키고 계시나요? 올해도 갓생을 살기 위한 다양한 목표와 노력들이 있을 텐데요. ‘미디어 리터러시’ 채널이 제안하는 갓생을 위한 신년 목표 세 가지는 어떠세요? 첫 번째 목표는 “하루 30분 이상 운동하기”입니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무럭무럭 건강한 성장을 위해 청년들은 목표를 향해 달려갈 수 있는 체력을 위해 중장년층은 아픈 곳 없이 튼튼한 건강을 위해 모두에게 운동은 필수적이겠죠? 하루 몇 분 이상, 일주일에 몇 회 이상 등 각자 상황에 맞는 개인적인 건강과 운동 목표를 세워보아요~ 두 번째 목표는 “자린고비 정신으로 절약하기”입니다. 직장인분들은 연말정산 하실 때 생각보다 많았던 작년 소비 내역에..
2022.02.04 -
제3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참가자들의 작성 각오!
얼마 남지 않은 제3회 공모전! 남은 기간 끝까지 함께 완주해 봐요. 그렇다면 참가자들은 어떤 마음가짐으로 이번 공모전에 임하고 있는지 작성 각오를 들어볼까요?! 박수희 님은 뉴스일기를 통해 하루하루의 새로움을 발견하고 있다는데요. 매일 다른 뉴스처럼 우리의 일상도 다르게 흘러가고 있어요. 뉴스일기에 일상에 대한 반성과 다짐을 담으며 독창적인 일상을 쓰고 있는 수희 님을 응원할게요! 김은아 님은 작년 한해 큰 화제가 되었던 배우 윤여정 님의 오스카 수상 소감에 영감을 받았대요! “저는 경쟁을 싫어합니다.”라는 말에 공감했네요. 우리 모두 지금처럼 재미있고 즐겁게 본인의 페이스에 맞게 뉴스일기를 꾸준히 작성해 봐요! 김지우 어린이는 환경 기사에 관심이 많아요. 하지만 좋아하는 하나의 주제에 집중하기 보다 ..
2022.0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