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57)
-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놀이로 배우는 첫 만남, 미디어는 내 친구 유아 대상 미디어교육 ‘미디어랑 나랑 꼬꼬마 미디어 리터러시’ 어린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수업은 쉽지 않다. 어른의 눈높이로 어린이를 판단하면 어린이들에게 필요한 교육이 아니라,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교육이 되기 마련이다. 미취학 어린이를 대상으로 놀이와 접목해서 미디어교육을 하는 현장을 찾아가본다. 글 윤현옥 (미디어교육 강사) 앞으로 아이들은 이제껏 경험하지 못한 미디어 세상을 더 많이 만나게 될 것이다. 어른들이 만들어 놓은 미디어 세상에서 길을 잃지 않고 어른보다 더 현명하고 똑똑한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이용자로 자라주길 희망한다. 지금 어린이들이 만나는 미디어 세상은 부모 세대가 경험하지 못했던 세계다. 부모들은 아이들의 미디어 노출 시..
2020.04.24 -
[미디어 사용설명서] 2화 – 온라인 게임편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한민국을 강타했죠. 집안에만 갇혀 있는 요즘 집안에서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게 중요하죠! 코로나 19 시기를 이겨내는 건강한 미디어 이용방법 초등학생용 미디어 사용설명서 '온라인 게임' 편! 함께 보실까요? 와이즈앱 2017년 3월 모바일 사용 분석에 따르면 스마트폰 게임 이용자는 하루에 평균 46분간 게임을 한다고 해요~ 1인당 사용시간은 압도적으로 1위 인데요! 1회 실행당 사용시간은 4분이 넘고, 1인당 1일 실행횟수 또한 10.2회라고 해요. 하루에 게임하는 1인당 개수 또한 2.26개라고 하죠! 따라서 첫째, 지속적인 점검을 통한 자기 관리가 매우 중요해요. 게임의 과도한 사용으로 자신의 일상생활에 변화가 없는지 유심히 관찰하는 태도가 매우 중요해요. ..
2020.03.18 -
[미디어 사용설명서] 1화 - 스마트폰 편 -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대한민국을 강타했죠. 집안에만 갇혀 있는 요즘 집안에서 주로 사용하는 미디어를 올바르게 사용하는게 중요하죠! 코로나 19 시기를 이겨내는 건강한 미디어 이용방법 초등학생용 미디어 사용설명서 '스마트폰' 편! 함께 보실까요? 첫째, 스마트폰과 잠시 떨어져 보세요. 숙제나 공부를 할 때에는 스마트폰을 잠시 보이지 않는 곳에 놓아 보세요. 19년 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NIA)에 따르면 청소년의 스마트폰 과의존 비중이 높게 나온걸 볼 수 있어요. 둘째, 잠을 잘 때에는 스마트폰을 먼 곳에 두세요. 뇌가 편안히 쉴 수 있게 되도록 잠을 자기 직전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자기 전까지 스마트폰을 하면 뇌가 피로해져 성장 발달에 좋지 않아요...
2020.03.13 -
국민일보,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하루가 다르게 빠르게 변화하는 뉴미디어 앞에서 올드미디어에 익숙한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어떻게 교육해야 할 지 갈피를 잡기 어렵습니다. 유해 콘텐츠에 노출될 것을 염려해 유튜브를 보지 못하게 막는 것으로는 한계가 있죠. 아이들 스스로가 미디어를 올바르게 활용할 수 있도록 미디어리터러시 교육이 필수적인 시대가 되었습니다. 기사 출처 : 국민일보 신은정 기자 국민일보 기사 보러가기 ▶ https://hoy.kr/aIKvi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봤으면...” 속 끓는 부모들 유튜브 공화국을 실감하는 요즘이다. 스마트폰 사용량이 늘면서 남녀노소할 것 없이 TV보다 유튜브를 찾는다. 동치미 담그기 같은 요리 정보부터 지지 정당 대 news.kmib.co.kr #유튜브 #속_끓는_부모들 #스마트폰 #미디..
2019.12.11 -
자녀의 스마트폰 사용, 감시하고 통제하지 마세요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 조절 능력 함양 방안 ‘공신폰’. 스마트폰을 너무 많이 사용하는 자녀들에게 부모들이 사주는 휴대폰이다. 당연히 인터넷과 SNS 이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포털 검색창에 ‘공신폰’을 치면 연관 검색어로 ‘공신폰 뚫는 법’, ‘공기계’ 등이 등장할 정도로 부모님들의 일방적인 통제와 감시는 별 효과가 없다. 청소년 스스로 미디어 이용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는 것은 어떨까? 글 오연주 (한국정보화진흥원 책임연구원) 청소년을 수동적이고 무비판적인 미디어 이용자라고 규정하는 시선은, 보호·규제·감시를 기반으로 하는 정책과 제도를 낳아 왔다. 우리나라의 심야시간대 인터넷 게임 제공시간 제한1), 프랑스의 학교 내 스마트폰 이용 전면 금지2), 대만에서 실시되고 있는 청소년의 과도한 디지..
2019.10.04 -
디지털안전위원회, “미디어·게임 중독은 사회문제”
호주-어린이·청소년의 미디어 과의존 예방 교육 스마트폰 보급이 늘어나면서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미디어 이용과 게임 시간을 둘러싼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것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다. 최근 호주의 일부 지역에서는 학생들의 학교 내 휴대폰 반입을 금지하는 법을 통과시킬 정도로 어린이·청소년의 지나친 미디어 이용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호주의 범정부적 대책을 소개한다. 글 이지영 호주 캔버라대 뉴스미디어연구센터 연구원 디지털안전위원회는 미디어 과이용 및 게임 중독을 온라인 안전과 관련한 중요 사회문제 중 하나로 보고, 별도의 페이지를 통해 각종 문제 현안 및 교육 자료와 상담 서비스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호주 보건부는 실내외 활동 가이드라인(Australia’s Physical Activity and Sed..
2019.0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