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미디어리터러시(85)
-
변화된 미디어 환경에 길을 밝혀줄 <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활동 소감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계간 는 미디어교육 전문지로,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향상과 미디어 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콘텐츠를 담고 있다. 특히 2022~2023년은 시민 기획위원을 선발하여 시민 눈높이에 맞는 미디어 리터러시 주제를 발굴하고 그에 맞는 내용을 제공했었다. 지난 2년간 시민 기획위원으로서 활동해온 소감을 통해 계간 〈미디어리터러시〉가 그간 걸어온 길을 비추고, 다시금 우리가 나아가야 할 길을 살펴보고자 한다. 디지털이 곧 미디어로 확장되고, 미디어가 곧 디지털로 나아가는 시대에서 〈미디어리터러시〉는 이전의 논의를 답습하기보다는 변화된 환경을 잘 설명하고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하는 선도적 역할을..
2024.05.22 -
‘모두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법’ 나누는 축제의 장
2023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written by. 이혜선 (서강대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 미국에서는 매년 10월 마지막 주에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을 맞아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학생과 대중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다양한 활동과 이벤트가 열린다. 올해로 9회를 맞은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 현장의 모습을 소개한다. NAMLE의 메간 프롬은 미디어 리터러시를 지닌 사람은 미디어 메시지가 개인·지역 공동체·사회에 미치는 영향이나 메시지 해석 과정에 자신의 편견과 인지 과정이 미치는 영향 등을 이해할 수 있다고 언급했다. 지난 10월 미국 전역에서는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주간(U.S. Media Literacy Week)’을 기념하기 위한 다채로운 행사가 열렸다. 미국 미디어 리터러시..
2024.05.14 -
더 나은 디지털 세상을 위한 전 세계의 노력
유네스코 ‘2023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written by. 이혜선 (서강대 미디어융합연구소 연구원) 매년 10월 마지막 주는 유네스코(UNESCO)에서 지정한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Global Media and Information Literacy Week)’이다. 이 시기 유네스코에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관련 주요 현안을 논의하고, 세계 각국에서는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진흥을 위한 다채로운 행사를 개최한다. ‘2023 글로벌 미디어·정보 리터러시 주간’ 행사를 소개한다. 오드레 아줄레 사무총장은 “알고리즘 조정 및 기능, 데이터 투명성 및 가용성, 개인 정보 보호, 인권 위험 평가에 대한 지침을 제안할 것”이며, “사용자의 비판적 사고를 키워 디지털 플랫폼의 잠재..
2024.05.08 -
싱가포르의 체계적 교육 시스템에서 배우다
2023년 미디어교육 해외연수 참여 후기 written by. 신윤경 (서울봉은초 교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내 교원의 미디어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해 지난 11월 30일부터 12월 5일까지 5박 6일간 싱가포르에서 미디어교육 교사 해외 연수를 진행했다. 공모를 통해 전국에서 선정된 7명의 초중고 교사가 참가한 이번 연수의 주요 내용과 참가 소감을 소개한다. 교사의 전문성을 높이고 체계적인 교육 시스템을 통해 현재 직면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싱가포르 교육자들의 노력을 엿보면서, 학생들의 미래 사회 대비를 위한 핵심 역량 함양을 위해 더 연단하고 노력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싱가포르에서 진행된 이번 연수는 미디어교육을 현장에서 진행하는 교사들에게 참으로 귀하고 소중한 경험이었다. 교직 ..
2024.05.01 -
과목과 학년을 넘나든 뉴스일기 덕에 실력이 쑥쑥!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수상 소감 written by. 유영희 (솔뫼중 사회교사,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우수지도자상 수상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1월 18일 시상식을 개최했다. 은 전 국민이 뉴스를 분별력 있게 받아들이고,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국민 캠페인이다. 제4회 공모전에는 약 3,300명의 인원이 참가해 975건의 일기장이 접수됐고, 이 중 총 65건의 일기장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우수지도자상을 수상한 유영희 교사의 수상 소감을 소개한다. 나는 모두에게 1인 1뉴스일기를 신청했고, 각자 30회의 일기를 작성하도록 했다. 일기장에 깨알같이 적어준 나의 코멘트에 학생들은 작은 응답을 하듯이 나날이 자신의 생각을 한 줄씩 덧붙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
2024.04.24 -
바로잡고 입증하고…팩트체크의 본질을 깨닫다
‘제5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수상 소감 written by. 김연우·홍윤우·이채아·최재연 (제5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대상 수상팀 ‘띵커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청소년의 분별 있는 뉴스 정보 소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매년 대회를 개최한다. 제5회를 맞이한 올해 대회의 주제는 ‘우리 동네를 위협하는 허위조작정보를 잡아라!’였으며, 총 6개월의 레이스를 거쳐 지난 11월 18일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을 개최했다. 대상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대학생 팀 ‘띵커톤(think-a-thon)’의 수상 소감을 전한다. “일상에서 팩트체크를 생각하다”라는 뜻의 ‘띵커톤’팀은 부산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하는 김연우, 홍윤우, 이채아, 최재연이 모여 결성되었다. 팩트체크의 중요성을 ..
2024.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