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보기(3169)
-
2025년에는 더 풍성하게 돌아온다!
|글. 편집부|어느새 한 해를 마무리하고 새로운 2025년, 푸른 뱀의 해를 준비해야 할 시기다.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의 2024년은 여러 교사 연수와 , , 등 다채로운 행사로 어느 때보다 바쁘게 지나갔다. 2025년에도 한국언론진흥재단의 미디어교육 사업은 더욱 풍성하고 알찬 내용으로 가득하다. 종합선물세트처럼 준비한 미디어교육팀의 2025년도 사업 프로그램을 만나보고, 관심 있다면 미리 신청 방법을 확인해서 놓치지 말자! 미디어교육 운영학교 지원 재단은 2025년에도 학교 미디어교육 활성화를 위해 미디어교육 지원 사업을 운영할 예정이다. 미디어교육 운영학교는 초·중·고등학교에 미디어 교육을 제공할 수 있는 미디어교육 강사를 무료로 파견하고, 교재 등을 지원받을 수 있는 사업이다. ‘뉴..
2025.01.22 -
<미디어리터러시> 하반기호 발간 이벤트 당첨자 발표
지난 12월 30일부터 1월 6일까지 진행되었던 하반기호 발간 기념 미·리마인드 이벤트당첨자를 발표합니다! 당첨되신 분들은 1월 14일(화)까지본 게시글 비밀댓글에 닉네임(아이디) / 연락처 / 개인정보 이용에 동의합니다를 남겨주세요. 경품은 개인정보 입력 기간종료 시점부터 3일 안에 발송 드릴 예정입니다.* 기간 내에 개인정보를 보내지 않을 경우 당첨을 자동 취소되며.잘못 입력된 개인정보로 인한 미발송의 경우 재발송되지 않습니다.여러분의 참여의 감사드리며다시 한번 당첨을 축하드립니다!
2025.01.07 -
「미디어리터러시」 2024년 하반기호(29호)
한국언론진흥재단에서 2024년 12월,반연간지 하반기호(통권 29호)를 발행했습니다.이번 미디어리터러시 하반기호에서는[선거와 미디어 리터러시]를 주제로선거에 영향을 주는 AI와허위조작정보 대응 방법,정치, 시사 유튜브 바르게 이용하는 법 등 '선거와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상세한 기사 내용은 아래에서 만나 볼 수 있습니다. 「특별기획」 선거와 미디어 리터러시선거판 흔드는 AI 허위조작정보와 대응 방법박영흠정치·시사 유튜브 전성시대, 바르게 이용하기최진호AI는 정말 전 세계 선거에 영향을 주었는가?오연주카타르시스를 주는 '가짜'를 어떻게 경계할 것인가박수진「인터뷰/대담」 미리 톡톡프랑스 미디어 교육의 현황과 도전 과제진민정디지털 교육 환경 속, 위기의 교실을 구하라주민정「교육..
2024.12.31 -
<미디어리터러시> 하반기호 발간 이벤트
지난 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하반기호가 발간되었습니다. 하반기호 발간을 기념하여이벤트를 준비하였습니다! 하반기호 발간 기념 미·리마인드 이벤트입니다!다음 그림을 보고 하반기호 주제를 맞춰주세요!추첨을 통해 12분께배달 상품권을 드립니다.이벤트 기간2024.12.30.(월) ~ 2025.01.06.(월) 당첨자 발표일2025.01.07.(화)이벤트는 '비밀댓글'을 통해 참여해주세요:) 하반기호를 읽고 있는 사진을 함께 올리면당첨 확률이 UP! UP!* 본 이벤트는 네이버 블로그, 티스토리 동시 진행 중이며, 당첨은 1건만 인정됩니다. 하반기호에 대한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다면?지금 한국언론재단 홈페이지를 방문해보세요.https://www.kpf.or.kr/front/news/literLis..
2024.12.30 -
갈등 보도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글.임영호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교수)|우리는 종종 사회적 갈등 사례를 다룬 뉴스를 보며 어느 한 편에 감정이입을 해서 반대편을 비난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 뉴스는 현실의 투명한 반영이나 팩트의 공정한 나열이라기보다는 언론사의 가치 선택에 따른 미묘한 편향성을 갖게 마련이다. 특히 사회적 갈등을 다룬 언론보도가 어떻게 편향성을 가지고 현실을 왜곡하는지 살펴보고, 비판적 뉴스 읽기에 대해 생각해본다. 언론보도는 늘 부정적인 뉴스로 넘쳐난다. 폭력과 범죄, 윤리적 일탈, 사회적 재난 등이 그러한 뉴스의 대표적인 형태다. 사회적 갈등 역시 이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노사 협상과 알력, 파업, 폭력 등을 다루는 노사 관계 보도가 전형적인 갈등 보도이겠지만, 최근 이슈가 된 의과대학 입..
2024.12.25 -
생성형 AI와 함께하는 교육 현장의 미래
|글. 이혜선 (국립암센터 암지식정보센터 박사후연구원)|학교 현장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것은 여전히 조심스럽다.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공공교육부서에서 발표한 ‘공립학교를 위한 생성형 AI 적용의 권장 및 고려 사항’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교육 현장에 생성형 인공지능을 도입할 때 이점과 고려해야 할 사항 등을 함께 생각해본다. 2022년 11월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의 출시는 누구나 인공지능을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이전까지의 인공지능 기술이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성한 코드(code)를 그대로 출력하는 느낌이었다면, 챗GPT는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자연어로 질문(입력)했을 때 자연어로 만들어진 답변(출력)을 받을 수 있다. 생성형 인공지능(Generative Artific..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