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리터러시(95)
-
갈등 보도는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글.임영호 (부산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명예교수)|우리는 종종 사회적 갈등 사례를 다룬 뉴스를 보며 어느 한 편에 감정이입을 해서 반대편을 비난하기도 한다. 그러나 사실 뉴스는 현실의 투명한 반영이나 팩트의 공정한 나열이라기보다는 언론사의 가치 선택에 따른 미묘한 편향성을 갖게 마련이다. 특히 사회적 갈등을 다룬 언론보도가 어떻게 편향성을 가지고 현실을 왜곡하는지 살펴보고, 비판적 뉴스 읽기에 대해 생각해본다. 언론보도는 늘 부정적인 뉴스로 넘쳐난다. 폭력과 범죄, 윤리적 일탈, 사회적 재난 등이 그러한 뉴스의 대표적인 형태다. 사회적 갈등 역시 이 범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노사 협상과 알력, 파업, 폭력 등을 다루는 노사 관계 보도가 전형적인 갈등 보도이겠지만, 최근 이슈가 된 의과대학 입..
2024.12.25 -
직접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뛰어든 미디어 조직
영국의 뉴스 리터러시 프로젝트 사례로 보는 미디어 교육의 방향 written by. 한지유 (계간 시민 기획위원) 영국 학술지 는 올 2월에 “포스트-팬데믹 시대 뉴스 리터러시 활동과 미디어 조직의 역할(The Place of Media Organisations in the Drive for Post-pandemic News Literacy)”1)이라는 연구 논문을 게재했다. 는 ‘챗GPT’ 특집을 맞아 뉴스 미디어가 뉴스 리터러시 교육에 참여하는 것이 적절한지 살펴본 이 논문을 챗GPT로 번역하고 계간 시민 기획위원이 요약해 소개한다. 뉴스 미디어가 직접 운영하거나 자금을 지원하는 프로젝트에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맡겨지는 현실을 우려하면서도, 전문 훈련을 받은 기자들이 수용자와 소통함으로써 저널..
2023.10.17 -
민주주의 위협하는 AI 허위정보 꼼짝마!
미국-생성형 AI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written by. 박유신 (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장·삼광초 교사) 챗GPT, 바드 등 생성형 AI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나쁜 의도를 가지고 AI를 악용할 경우 허위정보가 무분별하게 대량으로 퍼져나갈 수 있고, 허위정보의 유통은 뉴스 신뢰도에 치명적이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우려 속에 미국의 미디어교육 기관들이 AI 시대에 맞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고 한다. 관련 내용을 소개한다. 2023년 4월 3일자 는 포토 저널리즘의 윤리와 생성형 AI의 문제에 대해 다룬다. 생성형 AI는 더욱 정교한 가짜 콘텐츠를 만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선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어 경계해야 한다고 는 주장한다. ..
2023.06.28 -
[웹진 다시보기] 시민 교육 차원에서 전 연령별 교육 강조
영국 저널리즘 교육에서 뉴스 리터러시의 위상 시민 교육 차원에서 전 연령별 교육 강조 황현정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전 세계적으로 뉴스 리터러시를 함양시키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는 가운데, 영국은 전통적으로 오랫동안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해오고 있다. 이러한 영국에서 최근 뉴스 리터러시를 바라보는 시선과 교육에서 뉴스 리터러시가 차지하는 위상은 어떠한지 관련 문헌을 정리해 살펴보았다. 뉴스 리터러시는 뉴스라는 콘텐츠의 생산, 수용, 공유와 관련된 전반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그동안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왔지만 가짜뉴스(fake news) 문제가 대두되면서 뉴스리터러시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가짜뉴스에 대응하는 방안 중 하나로도 제안된다...
2022.08.19 -
시민 교육 차원에서 전 연령별 교육 강조
시민 교육 차원에서 전 연령별 교육 강조 영국 저널리즘 교육에서 뉴스 리터러시의 위상 그동안 미디어 리터러시의 한 분야로 인식되어 온 뉴스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관련 교육도 주목을 받고 있다. 영국은 1960년대부터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도입하는 등 전통적으로 저널리즘,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국가 차원의 관심이 뜨겁다. 이러한 영국에서 최근 뉴스 리터러시를 바라보는 시선은 어떠하고 교육에서 뉴스 리터러시가 차지하는 위상은 무엇인지 관련 문헌을 정리해 살펴보았다. 황현정(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한 인터뷰 대상자는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성교육’과 비슷하게 초등학교부터 시작하여 교육 발달 단계에 따라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답했다. 즉, 시..
2022.08.03 -
2022년에는 갓생 살자! 갓생을 위한 신년 목표 세 가지!!
2022년 새해가 밝은 지 벌써 한 달이 지났네요! 여러분 모두 작심삼일 하지 않고 세운 목표를 꾸준히 지키고 계시나요? 올해도 갓생을 살기 위한 다양한 목표와 노력들이 있을 텐데요. ‘미디어 리터러시’ 채널이 제안하는 갓생을 위한 신년 목표 세 가지는 어떠세요? 첫 번째 목표는 “하루 30분 이상 운동하기”입니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무럭무럭 건강한 성장을 위해 청년들은 목표를 향해 달려갈 수 있는 체력을 위해 중장년층은 아픈 곳 없이 튼튼한 건강을 위해 모두에게 운동은 필수적이겠죠? 하루 몇 분 이상, 일주일에 몇 회 이상 등 각자 상황에 맞는 개인적인 건강과 운동 목표를 세워보아요~ 두 번째 목표는 “자린고비 정신으로 절약하기”입니다. 직장인분들은 연말정산 하실 때 생각보다 많았던 작년 소비 내역에..
2022.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