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독다독(1487)
-
풍자와 과장, 예술적 상상력으로 현실 해석
조홍식, 숭실대 정치학과 교수 [요약] 유럽 언론에서 풍자의 대표격인 만평의 지위는 대단합니다. 프랑스의 대표적 권위를 자랑하는 르몽드는 1면에 반드시 만평을 실어 강조합니다. 풍자와 저널리즘의 관계를 살펴보겠습니다. #더 많은 표현의 자유 이 글에서 다루려는 것은 ‘풍자와 과장의 저널리즘’이다. 일단은 이미 역사가 긴 신문의 만평이나 뉴스를 패러디한 방송 프로그램을 염두에 두고 있다. 그러나 풍자와 과장의 저널리즘은 만평이나 패러디뿐 아니라 무궁무진한 발전 가능성을 안고 있다. 왜냐하면 객관성과 중립성의 틀로 규정되는 일반 저널리즘과 달리 풍자와 과장의 저널리즘은 오히려 이를 벗어나는 주관성과 상상력의 표현이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저널리즘은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진리를 추구한다. 언론이 팩트를 정확하게..
2016.12.12 -
12년만에 주택용 전기요금이 낮아진다
[요약] 유난히 무더웠던 이번 여름, 전기료 폭탄으로 누진세 논란이 일어났습니다. 이에,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4일 국회 산언통상자원위원회에 현행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를 조정하는 3개 개편안을 보고했습니다. 주택용 전기요금이 12년 만에 전면 개편되는 것입니다. #주택용 전기요금 12년 만에 전면 개편 지난 여름 폭염이 이어지면서 한 달 동안 에어컨을 하루 평균 6시간쯤 틀었던 가정집의 전기 요금은 26만1130원이었습니다. 봄철 월평균 6만2900원에서 약 3배가량 뛴 셈입니다. 많이 쓸수록 요금이 폭발적으로 뛰는 누진제 탓입니다. 하지만 내년 여름에 에어컨을 틀 때 전기요금에 대한 불안감은 상당 부분 사라질 전망입니다. 올해랑 똑같이 에어컨을 가동한다 해도 10만원 이상 요금을 덜 낼 수 있도록..
2016.12.08 -
책을 만드는 사람들이 선정한 올해의 책
[요약] 출판문화를 연구하고 출판사 간 활발한 교류를 위해 출판사 대표들이 모여 23년 동안 활동하고 있는 출판 모임 ‘책을만드는사람들’에서 2016년 올해의 책을 선정하였습니다. #정유정, 은 독자들의 많은 사랑을 받아온 정유정 작가가 이후 3년 만에 낸 신작입니다. 정유정 작가는 전작들을 통해 ‘악’에 대해 이야기 해왔습니다. 은 그러한 ‘악’이 어떻게 탄생하는지를 풀어낸 작품입니다. 주인공 유진은 매일 먹어야 하는 약을 끊으면 발작을 합니다. 며칠간 그 약을 끊은 유진은 본인에게 발작이 올 것을 알고, 외출을 합니다. 그리고 곧 시작될 발작을 기다리며 누워 있을 때, 해진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옵니다. 해진은 10년 전 자신의 집에 양자로 들어와 형의 자리를 대신하고 있는 인물입니다. 해진은 어머니와 ..
2016.12.06 -
트럼프 당선, 실리콘밸리 패닉에 빠트리다
[요약] 예상을 뒤엎고 도널드 트럼프가 미 대통령 당선되면서 IT업계는 실리콘밸리의 운명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실리콘밸리의 기업들과 주요 인사들은 대부분 힐러리를 지지했기 때문입니다. 실리콘밸리의 자유로운 성향도 이유가 됐지만, 트럼프의 정책이 실리콘밸리 기업들이 추구하는 방향과 다른 것이 주요 원인입니다. #두 후보의 상반된 IT 정책 지난 미국 대선 기간 동안 주요 IT 기업은 힐러리 클린턴을 지지했었습니다. 그들은 힐러리 클린턴에게는 300만 달러, 도널드 트럼프에게는 5만 달러를 기부했습니다. 기부액이 약 60배의 차이가 날 정도입니다. 그들은 왜 그토록 힐러리의 당선을 바랐던 것일까요?오바마 정부 시절부터 애플,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MS) 등 주요 IT 기업들은 미국 대표 기업으로 ..
2016.12.02 -
소셜미디어와 민주주의
장선화, 서울경제신문 백상경제연구원 연구위원(Ph.D) [요약] 소셜미디어는 어느새 선거운동에 필수적인 매체가 되었습니다. 대표적인 예가 2008년 미국 대선입니다. 당시 민주당 후보였던 버락 오바마는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이용해 차별적인 캠페인을 전개했습니다. 2011년 북아프리카와 중동 지역 국가에서 일어난 민주화 운동, 일명 '아랍의 봄' 역시 소셜미디어를 중심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시위대는 트위터, 페이스북 등을 적극적으로 사용했고 소규모로 시작했던 시위가 소셜미디어를 기반으로 조직적인 시위로 성장하였습니다. 그러나 소셜미디어가 이처럼 민주주의에 좋은 영향만을 끼친 것은 아닙니다. 지난 8일 제45대 미국 대선 때 페이스북에는 트럼프를 옹호하는 가짜 뉴스가 흥행했습니다. 심지어는 미국 주요 언론사 1..
2016.12.01 -
수고한 당신에게 추천하는 책
[요약] 벌써 11월의 마지막 날입니다. 11월에는 참 많은 일이 있었습니다. 유난히 다사다난했던 11월을 보낸 직장인, 대학생, 그리고 수능을 치느라 고생한 수험생 모두에게 마음을 위로하는 책을 추천합니다. # 김연수 이른바 무한경쟁의 시대입니다. 남을 이기지 않으면 내가 지고 만다는 강박관념이 마음을 잠식했기 때문일까요? 이 책의 제목 이 의미심장하게 다가옵니다. 작가 김연수는 ‘지지 않는다는 말’의 여러 가지 의미와 구체적인 모습을 들려줍니다. “졌다, 졌어”라고 중얼거리며 축구 중계를 시청하던 아버지에 대한 유년시절의 기억, 축구경기에 지면 모든 중대원이 연대 기합을 받던 군대의 추억 등은 이기지 못하는 것은 곧 환영받지 못한다는 의미였죠. 하지만 작가는 의문을 제기하지요. ‘과연 이기지 않는 것..
2016.1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