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진<미디어리터러시>(96)
-
[밑줄 긋는 시민 기획위원] 연관성 위기에서 연관성 초위기로 : 정체성 강요와 공동체의 위기
「초연결 사회와 소셜미디어 성장의 역설」을 바탕으로 written by. 한지유 (계간 ≪미디어리터러시≫ 시민 기획위원) 《미디어리터러시》 2023년 여름호(통권 제25호)에는 초연결 사회와 소셜미디어 성장의 역설을 주제로 ‘포스트매스미디어 : 연관성 위기에서 초위기로’ 신간 소개가 실렸다. 그 뒤를 이어 이번 에서는 해당 도서에서 다루고 있는 연관성(relevance) 개념과 촉발된 위기를 중점적으로 정리해 설명하고자 한다. 저자는 책에서 “과연 사람들은 미디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지금, 여기에 연관된 것에 대해 관심을 갖고, 이야기하고, 행동하는 삶을 사는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다르게 말하면, 나, 지금, 여기라는 나와 매우 밀접한 연관 요인들에 관심이 있냐는 말이 된다. 정답부터 말하자면, ..
2023.11.28 -
11월의 추천 영화 – 12인의 성난 사람들
11월의 추천 영화 – 12인의 성난 사람들 written by. 계간 편집부 일상생활 속에서는 여러 사람이 모여 무언가를 결정할 일이 많습니다. 명절을 맞아 가족들이 다 같이 모일 장소를 정하거나, 회사 사람들이 함께 모여 점심 식사 메뉴를 정할 때에도 각자의 취향과 상황에 따라 의견을 제시하고 결론을 만들게 되는데요. 이렇게 다양한 곳에서 이루어지는 집단의 의사결정 과정을 긴장감 넘치는 스토리와 연출로 담아낸 작품이 있습니다. 1957년 작인 은 미국의 형사사건을 둘러싸고 12명의 배심원이 각자의 논리를 앞세워 다툼을 벌이면서 결론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밀도 있게 연출한 작품입니다. 진정한 정의와 인간의 본성, 집단 의사 결정 과정의 역학과 그 복잡성을 90분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치밀하게 보여주고 있..
2023.11.22 -
잡지 구독 환경의 변화를 읽은 <이코노미스트>의 전략
여러분은 혹시 잡지를 구독하고 계시나요? 매일 아침 우편함에 꽂혀있던 신문과 잡지들을 기억하는 분들도 적지 않을 텐데요. 디지털 플랫폼이 확대되고 매체를 접하는 환경이 지면에서 화면으로 옮겨가며 사람들의 읽기 습관도 크게 변화했습니다. 대중의 미디어 소비 방식이 긴 글을 완독하기보다 짧은 콘텐츠를 가볍게 소비하는 스낵 컬처(Snack Culture) 위주로 바뀌면서 신문과 잡지 등 인쇄물을 기반으로 한 매체 산업의 전망은 몹시 불투명해졌습니다. 이런 시기에도 성공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이루고 수익을 유지하고 있는 잡지들이 있습니다. 180년이 넘게 명성을 이어가고 있는 영국의 시사주간지, 도 그 중 하나입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발간하는 월간지, 『신문과 방송』 2023년 11월호에서는 인쇄물 시장이 축소..
2023.11.18 -
책 읽기 좋은 계절, 가을. 이런 책 어떠세요?
책 읽기 좋은 계절, 가을. 이런 책 어떠세요? written by. 계간 편집부 한 주 사이 날씨가 부쩍 쌀쌀해졌죠. 실내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난 요즘, 독서를 하며 여가를 보내는 것은 어떨까요? 계간 편집부에서 여유와 함께 사색의 깊이를 더할 수 있는 책 세 권을 추천해 드릴게요. 아래에 독서 생활을 한층 즐겁게 해줄 깜짝 이벤트도 준비되어 있답니다. 《포스트 트루스》 저자 : 리 메킨타이어 2016년 옥스퍼드 영어사전이 ‘올해의 단어’로 선정한 ‘포스트 트루스(탈진실)’는 “여론을 형성할 때 객관적인 사실보다 감정이 더 중요하게 여겨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탈진실 현상은 2016년을 전후해 사라진 일시적인 문제가 아니라, 오히려 점점 강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디지털 기기가 대중적으로 ..
2023.11.17 -
리터러시를 위한 ‘보이지 않는’ 노력, 점자의 세계
written by. 계간 편집부 혹시 편의점이나 대형마트에서 물건을 구매하다가 음료수의 병뚜껑과 컵라면 패키지, 두통약 포장지의 오돌토돌한 점을 보신 적이 있나요? 여러 가지 형태로 인쇄된 이 특이한 점들은 바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점자입니다. 색깔은 없지만 도톰하게 만들어져 손으로 더듬으면 그 형태로 글을 읽을 수 있게 만들어졌지요. 주로 엘리베이터의 버튼이나 화장실, 지하철의 역명 표시판 등에서 흔히 발견되던 점자는 최근 식음료 제품이나, 의약품, 화장품의 패키지에서도 찾아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오는 11월 4일은 제97돌 한글 점자의 날입니다. 한글 점자의 날은 송암 박두성 선생이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6점식 한글 점자를 공식적으로 발표한 것을 기념해 제정된 날입니다. 송암 박두성 선생은 맹인..
2023.11.02 -
미디어리터러시와 <유튜브 시대 언론사의 생존 전략> 같이 보기
written by. 계간 편집부 “여러분은 요즘 어디에서 뉴스를 보고 있나요?” 많은 분들이 포털 사이트나 유튜브에서 뉴스를 접하고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신문을 읽는다는 표현을 들은 지도 꽤 오래된 것 같은데요. 유튜브를 자주 사용하는 분들이라면, 많은 언론사들이 뉴스를 짧은 분량으로 편집해 업로드하거나, 1020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쉽게 각종 유행어와 밈(meme)을 더해 시사 이슈를 재가공한 콘텐츠를 보셨을 것입니다. 오픈서베이가 전국의 15~59세 남녀 5,000명을 대상으로 소셜미디어·검색포털에 관해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흥미로운 결과가 나타났습니다. 응답자의 48.5%가 유튜브를 '최신 정보를 얻기 좋은' 매체로 생각하며 ‘전문적인 정보가 많은' 매체로 생각하는 비율 역시 29.8%로, 인스타..
2023.10.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