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62)
-
3월의 추천 영화 – 스노든
3월의 추천 영화 – 스노든 세상을 바꾼 위대한 폭로 “우리는 포기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침묵하지 않을 것입니다” 영화 미국 국가안보국(NSA) 직원이었던 에드워드 스노든의 내부고발. 국가가 테러 방지와 국가 안보를 목적으로 일반인의 개인정보를 무차별적으로 수집하고 있다는 사실에 대한 폭로. 바로 그 실화를 바탕으로 한 영화 을 소개합니다. 에드워드 스노든은 정보 분석원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프로그램을 만듭니다. 그런데 어느 날 스노든은 자신의 프로그램이 안보라는 명목하에 전 세계인의 개인정보를 수집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합니다. 스노든 그 사실을 폭로하기 위해 미국을 떠나 홍콩에서 다큐멘터리 작가와 저널리스트를 만나는데요. 첩보전을 방불케 한 8일간의 기록은 권력의 시스템에 맞선 위..
2023.03.23 -
[웹진 다시보기] 습관적 ‘○○녀’ 사용, 약자·외국인 비하도 흔해
미디어 속 ‘인권’ 침해 사례 파헤치기 습관적 ‘○○녀’ 사용, 약자·외국인 비하도 흔해 김언경(미디어인권연구소 뭉클 소장) 언론은 기본적으로 권력을 감시하고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는 순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인권 감수성이 부족한 부적절한 용어 사용이나 특정 성,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적 보도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성차별적 표현을 여과 없이 보도 언론은 성차별적 표현을 사용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외모와 신체, 나이에 따라 사람의 가치를 매기거나, 이를 조롱하고, 비난, 비하, 멸시하는 표현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성희롱, 성폭력, 가정 폭력, 성매매를 정당화할 우려가 있는 표현, 성범죄의 원인을 피해자에게 돌리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
2022.07.22 -
습관적 ‘○○녀’ 사용, 약자·외국인 비하도 흔해
습관적 ‘○○녀’ 사용, 약자·외국인 비하도 흔해 미디어 속 ‘인권’ 침해 사례 파헤치기 언론은 기본적으로 권력을 감시하고 사회 부조리를 비판하는 순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그 과정에서 인권 감수성이 부족한 부적절한 용어 사용이나 특정 성, 특정 집단에 대한 차별적 보도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미디어에 의한 인권 침해와 차별을 감시하는 한 시민 단체 활동가의 글을 소개한다. 김언경(미디어인권연구소 뭉클 소장) 장애인을 지칭하는 기존의 용어 및 장애와 관련된 속담, 관용구 등에는 장애인을 불완전한 존재로 보는 인식, 장애를 비하하는 의미가 담겨 있다. 따라서 언론 보도에서는 이런 표현을 사용하지 말아야 하며, 부정적 의미의 장애 관련 속담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언론이 다루는 정치, 경제, 사회 등 모..
2022.07.12 -
오늘의 추천도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새로운 형식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법을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자신이 계속해 오고 있는 영역을 심화시키는 것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발전을 위해 소중한 일이다. 오늘 소개해드릴 책은 독자들 사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제대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한 가장 완벽한 지침서로 꼽히고 있는 입니다. 이 책은 단편적인 일회성 미디어 교육이 아닌, 미디어 리터러시 역량 강화와 비판적 미디어 수용 교육, 창의적 미디어 활용과 생산 교육, 민주시민 교육 등 미디어 교육과 관련된 폭넓은 주제와 활동 사례를 자세하게 소개하며, 학교 현장에서 진행한 다양한 교육사례를 담고 있습니다. 신문·뉴스 활용 교육, 뉴스 리터러시 교육이 뉴스에 기초한 교육이라면,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뉴스, 지식, 정보 등을 포괄하는 교..
2021.12.29 -
현명한 미디어 생비자(생산자+소비자)가 되기 위한 길, 미디어리터러시!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1편에서는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에 대해 짚어보았는데요, ▼다시 짚어보는 미디어 리터러시 1부 보러가기▼ 건강한 미디어 생활을 위한 필수 능력, 미디어리터러시!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이제는 많은 분들께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이제는 잘! 알고 계시지요?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점검해 보 dadoc.or.kr 2편에서는 현명하게 미디어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방법을 다시금 알아보기 위해, 주요 주제별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점차 심각해지는 코로나 19가 불러온 인포데믹 상황! 최고의 미디어 면역 강화법은 무엇일까요? 정보를 얻기 위해 한 번의..
2021.12.24 -
건강한 미디어 생활을 위한 필수 능력, 미디어리터러시!
안녕하세요, 한국언론진흥재단입니다. 이제는 많은 분들께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이제는 잘! 알고 계시지요? 올바른 미디어 사용을 위해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하여 다시 한번 점검해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media)와 리터러시(literacy)의 합성어인데요 다양한 매체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분별력 있게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적절히 활용하며 창조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뜻합니다. 미디어는 익숙하지만, 리터러시라는 말은 익숙하지 않으실 수 있을 것 같아 준비했습니다. 리터러시란?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뜻합니다. 글을 통해 정보와 지식을 받아들였던 과거에는 책, 신문, 잡지 등의 종이 위주로 지식이 공유되었지만, 현재 인터넷의 발달로 인터..
2021.1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