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럼(96)
-
과목과 학년을 넘나든 뉴스일기 덕에 실력이 쑥쑥!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수상 소감 written by. 유영희 (솔뫼중 사회교사, 제4회 뉴스읽기 뉴스일기 공모전 우수지도자상 수상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1월 18일 시상식을 개최했다. 은 전 국민이 뉴스를 분별력 있게 받아들이고, 능동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대국민 캠페인이다. 제4회 공모전에는 약 3,300명의 인원이 참가해 975건의 일기장이 접수됐고, 이 중 총 65건의 일기장이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우수지도자상을 수상한 유영희 교사의 수상 소감을 소개한다. 나는 모두에게 1인 1뉴스일기를 신청했고, 각자 30회의 일기를 작성하도록 했다. 일기장에 깨알같이 적어준 나의 코멘트에 학생들은 작은 응답을 하듯이 나날이 자신의 생각을 한 줄씩 덧붙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한..
2024.04.24 -
바로잡고 입증하고…팩트체크의 본질을 깨닫다
‘제5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수상 소감 written by. 김연우·홍윤우·이채아·최재연 (제5회 청소년 체커톤 대회 대상 수상팀 ‘띵커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허위조작정보에 대한 청소년의 분별 있는 뉴스 정보 소비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매년 대회를 개최한다. 제5회를 맞이한 올해 대회의 주제는 ‘우리 동네를 위협하는 허위조작정보를 잡아라!’였으며, 총 6개월의 레이스를 거쳐 지난 11월 18일 수상자에 대한 시상식을 개최했다. 대상인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받은 대학생 팀 ‘띵커톤(think-a-thon)’의 수상 소감을 전한다. “일상에서 팩트체크를 생각하다”라는 뜻의 ‘띵커톤’팀은 부산에서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하는 김연우, 홍윤우, 이채아, 최재연이 모여 결성되었다. 팩트체크의 중요성을 ..
2024.04.17 -
나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길, ‘세 발자국’
‘2023 미디어교육대상’ 수상 소감 written by. 이진석 (덕포초 교사) 한국언론진흥재단은 국내 최초로 미디어교육을 시작한 공공 기관으로 전 국민의 미디어 리터러시 함양에 기여한 유공자를 발굴·포상하기 위해 매년 ‘미디어교육대상’ 시상식을 개최하고 있다. 올해는 총 일곱 명의 미디어교육 관련 교원이 영예의 수상자로 선정됐다. 이 가운데 교육부장관상을 수상한 이진석 교사의 수상 소감을 전한다. 나는 일선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과 함께 지내면서 교육에 힘쓰는 현장 미디어교육 연구자이다. 현장에서 정말 필요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무엇인지 연구하며 아이들의 성장을 지켜보고, 이러한 현장 연구를 다른 사람들과 나누며, 함께 성장하고 싶다. 어디서부터 이야기를 해야 할까? 의식의 흐름대로 이야기하..
2023.12.29 -
인공지능 시대, 공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하다
‘2023 미디어교육 전국대회’ 개최기 written by. 최용재 (한국언론진흥재단 미디어교육팀 사원)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지난 11월 10일 ‘인공지능의 시대,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의 시간’을 주제로 를 개최했다. 올해 전국대회는 바야흐로 인공지능 시대를 살아가는 디지털 네이티브인 우리 청소년들에게 디지털·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했다. 전국대회 현장 모습을 생생하게 전달한다. 는 인공지능 시대 속 공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는 이정표와 같았다. 양질의 강연과 함께 공교육을 지원하는 재단의 미디어교육 사업을 알리고 공교육에서 활동하는 교육가들에게 미디어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제시하는 뜻 깊은 자리였다. 디지털 미디어의 계속되는 진화는 순기능뿐만 아니라 가짜뉴스 유포 등의..
2023.12.28 -
‘플레이밍’ 사회의 그늘…올바른 정보 습득으로 극복해야
온라인 여론몰이와 바람직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방향 written by. 송용준 (세계일보 문화체육부 기자) 악성 댓글, 사이버 자경단, 온라인 신상털기. 모두 주로 온라인 익명성에 기대어 혐오와 비난 등의 글이 빠르게 퍼져 나가는 현상인 ‘플레이밍’의 일종이다. 올해 나온 책 ≪플레이밍 사회≫를 살펴보며 우리 사회에 만연한 온라인 여론몰이 현상과 바람직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고민해 본다. 아쉽게도 저자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그래도 저자의 글을 행간으로 읽다보면 결국 플레이밍의 긍정적 요소를 강화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정보 습득을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는 것만은 분명해 보인다. 어떤 사안이 벌어졌을 때 사람들은 그에 대한 주변의 의견을 궁금해 한다. ..
2023.12.22 -
인공지능이 바꿀 미래 학교를 준비하며
서울교육포럼 ‘챗GPT 시대, 현장 교사에게 묻다’ written by. 오은영 (서울특별시 강남서초교육지원청 장학사) 교육 현장에서도 챗GPT가 뜨거운 관심사다. 이를 반영해 지난 4월 6일 서울시교육청은 챗GPT의 교육적 활용에 관해 현직 교사들의 목소리를 정취하고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서울교육포럼을 개최했다. 포럼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챗GPT를 학교 교육에 적용하기 위한 필요조건도 있었다. 먼저 교사들의 인식 개선 및 관련 연수 활성화, 윤리 가이드라인 제공이 요구됐다. 문해력, 글쓰기, 디지털 리터러시 등 학생의 기초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교사가 신경써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서울시교육청은 생성형 AI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현장 의견과 적용 사..
2023.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