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4)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8)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N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언론진흥재단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미디어교육 스마트폰 뉴스읽기뉴스일기 뉴스 기자 미디어리터러시 공모전 계간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 이벤트 다독다독 책 신문읽기 NIE 독서 한국언론진흥재단 신문 뉴스리터러시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103)

  • 뉴스스탠드 보다 ‘4월 7일’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2013.04.07
  • 남자 나이 50, 당신은 안녕하신가요?

    2013.04.05
  • 스마트폰으로 야동 보는 아이들, 괜찮을까?

    2013.04.03
  •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신문 활용법

    2013.04.01
  • 인터넷 언어의 대중화, 양면을 살펴보니

    2013.03.29
  • ‘파파르네상스’시대 개막 그 속사정 살펴보니

    2013.03.11
뉴스스탠드 보다 ‘4월 7일’을 주목해야 하는 이유

얼마 전 국내 최대의 포털사이트의 뉴스 캐스트가 뉴스스탠드 형식으로 바뀌면서 여러 가지 의견이 분분합니다. 뉴스페이지를 다시 눌러 기사를 보는 것이 번거롭다는 의견과 낚시성 기사를 지양하기 위한 이번 포털화면 개편이 신선하다는 반응이 둘로 나뉜 상황인데요. 언론사는 물거품처럼 사라진 트래픽 수치 때문에 고민이 이만저만이 아니라고 합니다. 4월 7일 57회 ‘신문의 날’을 맞아 신문의 현재와 미래를 살펴보려 합니다. ▲포털사이트 뉴스 화면이 바뀌기 전과 후 [출처-서울신문] 신문 산업 진흥을 위한 법안 발의 제안, 하지만... 우리나라는 2009년부터 신문 산업 진흥을 위한 법안들이 발의돼왔지만, 어느 순간부터 종편과 보도전문채널 도입 와중에 이러한 논의구조가 사라졌습니다. 2012년 10월 ‘신문산업진흥..

2013. 4. 7. 07:00
남자 나이 50, 당신은 안녕하신가요?

그들도 위로가 필요합니다 얼마 전 출판마케팅과 관련된 자료를 뒤적이다가 흥미로운 문구 앞에서 눈길이 멈췄습니다. 바로 ‘50대 남자는 공항에서 책을 산다’라는 독특한 문구였죠. 이는 이라는 홀거 라이너스의 책이 ‘공항 베스트셀러’라는 점을 이야기하고 있는 구절이었습니다. 50대 남자라는 ‘특수한’ 계층을 타깃독자층으로 선정한 이 에세이는, 놀랍게도 20퍼센트 이상이 공항서점에서 판매되는 이례적인 현상을 몰고 왔습니다. 말인즉슨, 50대 비즈니스맨들은 출장 중에 이 책을 사들고 업무를 위해 떠나는 비행기 안에서 잠시의 위안을 얻는 다는 것이지요. 음, 꽤나 흥미롭군, 하며 고개를 끄덕이다가 불현 듯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네 아버지들도 위로와 위안이 필요하구나. 실천적인 매뉴얼이나 지침도 좋지만 그들..

2013. 4. 5. 10:02
스마트폰으로 야동 보는 아이들, 괜찮을까?

‘좋은 도구가 탁월한 교사를 만드는 것이 아니다. 그러나 탁월한 교사는 도구를 잘 쓸 줄 안다. - 태퍼’ 교육에 관한 명언 중에 이런 말이 있습니다. 아마 오늘날 교육자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신경 쓰는 도구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같은 디지털 기기가 아닐까 합니다. 디지털 기기의 발달은 교육에 생각지도 못한 효과를 가져왔는데요. 모든 도구가 그렇듯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공존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교육 현장에서 아이들이 쓰는 디지털기기들이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살펴볼게요. [출처 – 서울신문] 디지털기기의 부정적 활용. 스마트폰으로 야동을 보는 어린이들 PC가 보급되고 인터넷이 생활화 된 이후 아이들이 성적으로 문란하거나 폭력적인 영상을 접하기가 훨씬 쉬워졌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면서부터는 단어 ..

2013. 4. 3. 14:02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신문 활용법

지난 금요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의 후원으로 ‘신문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법’ 특강이 서경대학교 혜인관 209호에서 열렸습니다. 연사는 서경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하며 스토리텔링 창작법을 강의하고 있으신 조정래 교수님입니다. ‘신문’을 활용한 스토리텔링 창작법이라, 딱딱하기만 할 것 같은 신문에서 스토리텔링을 찾는다니 좀 어려울 것 같은 느낌이죠? 그러나 사실 신문기사 만큼 이야기를 잘 드러내면서 구조가 잘 잡혀있는 글은 없답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왜 스토리텔링을 창작해야 하는지, 스토리텔링은 어떻게 해야 하며 신문은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살펴볼까요? 이제는 ‘스토리텔링’이 중요한 시대 현대사회에 들어 스토리텔링은 중요한 요소로 떠올랐습니다. 학교에서도 더 이상 일방적인 수업이 아니라 스토리텔링을..

2013. 4. 1. 13:15
인터넷 언어의 대중화, 양면을 살펴보니

‘악플 쩔어.’, ‘내 성적 지못미’, ‘치맥 갠춘? ㅇㅋ’. 아마 인터넷을 통해 지금 이 글을 보고 계신 분이라면 이런 인터넷 언어를 좋아하거나 싫어하실 수는 있어도 무슨 뜻인지는 대충 다 아실 겁니다. 최근 거의 모든 생활에 인터넷이 필수가 되면서 실생활에도 인터넷언어와 문화가 확산되고 있는데요. 이 때문에 여러 긍정적인 면과 부정적인 면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일들이 일어나고 있고 원인은 뭘까요? [출처 – 서울신문] 시험이나 보고서가 장난이야? 인터넷 언어의 부정적 측면 인터넷 언어도 마찬가지지만 이런 언어는 특히 유행에 민감한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퍼지는 경향이 있는데요. 최근 국립국어원에서는 인터넷뿐 아니라 실생활에서 쓰는 언어에서조차 문자 단순화 현상이 벌어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합니..

2013. 3. 29. 14:24
‘파파르네상스’시대 개막 그 속사정 살펴보니

아버지들이 돌아오고 있습니다. 지적장애인 아버지가 교도소에서 딸을 향한 사랑을 펼쳐 보이는 영화 ‘7번방의 선물’은 제작자조차 상상하지 못했던 1200만 관객을 돌파하며 역대 영화 흥행 5위에 올랐습니다. 영화뿐 아니라 TV도 진한 부성애로 넘칩니다. 얼마 전 50%에 육박하는 시청률의 국민 드라마로 종영한 ‘내 딸 서영이’ 역시 자신을 부정하는 딸을 뒤에서 묵묵히 지켜주는 아버지의 애절한 사랑이 시청자들의 심금을 울렸지요. 한편 ‘아빠! 어디가?’는 실제 연예인 아버지와 어린 자녀가 시골에서 1박 2일 간 함께 지내며 좌충우돌 서로를 알아가는 과정을 그려 큰 공감을 사는 리얼 예능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이처럼 영화, TV 등을 가리지 않고 아버지와 부성애가 큰 주목을 받고 있는데요. 그 이유는 무엇일까..

2013. 3. 11. 09:57
1 ··· 6 7 8 9 10 11 12 ··· 18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