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리터러시

미디어리터러시

  • 전체보기 (3176) N
    • 웹진<미디어리터러시> (99)
    • 특집 (97)
    • 수업 현장 (110)
    • 포럼 (96)
    • 해외 미디어 교육 (82)
    • 언론진흥재단 소식 (193)
    • 공지사항 (97)
    • 이벤트 (10)
    • 다독다독, 다시보기 (2326)
      • 현장소식 (178)
      • 이슈연재 (1043)
      • 미디어 리터러시 (188)
      • 읽는 존재 (77)
      • 영자신문 읽기 (53)
      • 기획연재 (150)
      • 생활백과 (114)
      • 지식창고 (523)
  • 홈
  • 태그
  • 미디어로그
  • 위치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미디어리터러시

컨텐츠 검색

태그

미디어 미디어교육 공모전 뉴스읽기뉴스일기 언론진흥재단 책 뉴스리터러시 NIE 스마트폰 미디어리터러시 한국언론진흥재단 독서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이벤트 다독다독 신문읽기 신문 계간미디어리터러시 기자 뉴스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 [다독퀴즈 10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방문자 100만명 돌파! '다독다독 블로그의 2012년' 이벤트
  • [다독퀴즈 9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다독퀴즈 8회]다독퀴즈 맞히고 기프티콘 받아가세요~
  • 리더스콘서트 후기 공모 결과

아카이브

웹진다시보기(35)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를 통해 만들어가는 온라인 학교, 학교 가자 닷컴

    2022.06.07
  • [웹진 다시보기]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2022.05.27
  • [웹진 다시보기]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2022.05.24
  •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2022.05.16
  • [웹진 다시보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2022.05.11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를 통해 만들어가는 온라인 학교, 학교 가자 닷컴

선생님들이 직접 만든, 미디어와 에듀테크 도구를 활용한 온라인 학습사이트 미디어를 통해 만들어가는 온라인 학교, 학교가자닷컴 신민철 (대구 진월초 교사) 코로나19로 인하여 전국의 학교 현장이 문을 닫았을 때, 선생님들은 아이들을 위하여 온라인 학습 사이트, “학교가자닷컴”을 만들었습니다. 학교가자닷컴은 2020년 구글이 선정한 로 선정되었으며, 2021년에는 유네스코 교육 정책 세미나에서 한국 대표 사례로 소개되었습니다. 학교가자닷컴은영상 콘텐츠들을 활용하여 원격수업과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학습 꾸러미를 만들고 링크를 통해 누구나 접속하여 학습꾸러미를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이 되어 있으며, 유튜브 라이브를 활용해 학생들을 위한 실시간 진로 특강과 수업들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등교 개학이 시작되고 나서도..

2022. 6. 7. 17:25
[웹진 다시보기]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 ​ 유럽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 모든 아동·청소년을 포용하는 ‘디지털 10년’ 준비하기 이수정 (서울대 강사/교육학 박사) ​ ​ ​ ​ 미래 디지털 사회의 주체가 될 아동과 청소년이 어떻게 하면 인터넷에서 마주할 위험과 기회를 포착하고 잘 대처할 수 있을지를 주제로 한 ‘더 안전한 인터넷 포럼 2021’이 3일에 걸쳐 개최됐다. 그중 우르스 가서 교수의 미래 청소년 온라인 정책을 기획하기 위한 세 가지 원칙을 소개하고자 한다. ​ ​ ​ ​ 첫째, ‘증거와 학습에 기반한 정책’이다. 늘 증거를 수집하는 데에만 매몰되어서는 안 되며, 올바른 질문을 하고 해답을 찾는 연구적 성격을 띠어야 하며, 긴 호흡으로 청소년을 바라볼 수 있는 종단적인 시선 또한 필요하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는 청소년..

2022. 5. 27. 15:19
[웹진 다시보기]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 ​ 일리노이 주, 미국 최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의무화 다양한 미디어 활용과 비판적 수용, 사회적 책임성 강조 황현정 (건국대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센터 연구원) ​ ​ ​ ​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 미디어 리터러시가 교육과정의 내용 요소로 편입됨으로써 우리나라도 2024년부터는 공교육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확보됐다. 그러나 여전히 국가 차원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법적 근거는 없다. 최근 미국 내 최초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법으로 의무화한 일리노이 주 현황을 살펴보고 시사점을 발견하고자 한다. ​ ​ ​ ​ 최근 미국 일리노이 주에서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의무화하는 교육 법안이 미국 최초로 통과됐다. 여기서 주목해야할 점은..

2022. 5. 24. 15:52
[웹진 다시보기]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 ​ 한국언론학회 집담회-‘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일까’ 미디어에 지배받는 인간? 미디어 리터러시가 필요한 이유 ​ ​ 조재희 (서강대 지식융합미디어학부 교수) ​ ​ ​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연구자와 실무자들은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와 범위를 설명하는 데 여전히 어려움을 겪고 있다. ​ 이는 미디어 생태계가 너무나도 빠르게 변하고 있고, 광범위하게 미디어 활용이 늘어나면서 하나의 특정 영역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를 내리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또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제도적 장치의 마련과 운영에 더 큰 주의를 기울이면서 정작 개념적 정의와 관련해서는 근본적인 논의의 장이 자주 마련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 ​ ​ ​ 한국언론학회 미디어교육연구회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근본적..

2022. 5. 16. 13:40
[웹진 다시보기]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 ​ 프랑스 끌레미(CLEMI, 미디어 정보 교육 연계 센터) ‘2022년 언론 주간 교육 가이드’ 허위정보에 속지 않고 세상을 바로 이해하기 ​ ​ 진민정 (한국언론진흥재단 책임연구위원) ​ ​ ​ ​ 정보 통신 사회에서 학생들을 능동적이고 정보에 입각하며 책임감 있는 시민으로 육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진행되는 프랑스 ‘학교에서의 미디어와 언론 주간’이 지난 3월 21일부터 26일까지 개최됐다. 2022년의 언론 주간의 주제는 ‘세상을 이해하기 위해 정보 얻기‘로, 올해의 테마를 위해 끌레미는 교육 가이드를 배포했다. 교육 가이드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 ​ ​ 첫 번째는 ‘표현의 자유에 대해 질문하기’다. 디지털 소셜 네트워크에서 때때로 통제되지 않는 표현과 마주하게 되면 표현의 자유의 한..

2022. 5. 11. 09:20
1 ··· 3 4 5 6
미디어리터러시 페이스북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언론진흥재단. All right reserved.

티스토리툴바